인코딩과 문자 집합/완성형
완성형은 한글의 인코딩에서, 완성된 한 자에 1개의 코드를 배당하며, 그 내부의 자소들과 상관없이 배당한 코드를 말한다. 조합형과 반대된다.
7비트 완성형편집
1980년대 사용되던 인코딩으로, 영문 소문자뒤에 대문자가 오는 코드등에 한글을 배당하는 인코딩으로, 글자수가 1300여자로 제한되었다. 주의할 점은 한글 카드별로 호환이 되지 않고 다른 한글로 표시되었다.
2바이트 완성형편집
2바이트 완성형은 2바이트 코드에 한글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KS X 1001과 EUC-KR이 있으며, 북한의 국규 9566도 이에 포함된다. ISO/IEC 2022와 호환되도록 만들어 졌으며, 94x94공간내에 있으며, 한글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확장 완성형편집
CP949와 같이 94x94공간 외의 문자를 사전순으로 정렬해 별도의 공간에 저장한 코드이다.
국규 9566의 2003년 판도 이를 따라 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