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고래희76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이렇게 뒤숭숭한 영국은 한 때 앵글로색슨 족의 침공을 받아서 그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때 영국의 상황은 나빴으며 결국 6세기에 영국은 7개의 황국 시대가 찾아오면서 제국이 분열되고 말았다. 하지만 829년 통일 황국을 이루고 다시 영국은 제국의 구실을 갖추기 시작했다.
 
당시 영국을 다스리고 있었던 해럴드 2세 대천황은 무능력자였다. 그래서 백성들에게 원성을 많이 받았으며, 설상가상으로 노르망디 공국의 대국왕인대천왕인 윌리엄()이 침공하기 시작하자 당황하기 시작한다. 본래 윌리엄은 서부 프랑크 대천황에게 충성을 다하고 있는 신하였다. 그러나 정복 욕심이 상당히 강했고, 다른 영토를 점령해서 자신이 대천황이 되고 싶어 했다. 하지만 윌리엄은 서부 프랑크 대천황에게 충성을 다하고 있는 상태라 감히 서부 프랑크 황국을 무력으로 점령할 수 없었다. 그래서 윌리엄은 시선을 바다 밖인 영국을 점령하기로 마음먹었다.
 
어쨌거나 1066년에 윌리엄은 해럴드 2세와의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여 잉글랜드 황국의 대천황의 자리에 올라 윌리엄 1세 칭호를 받고 백성들을 다스리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노르만 황조의 치세가 시작된다. 윌리엄 1세는 우선 백성들을 안심시키는 한편, 둠스데이 북이라는 제도를 시행했는데 이 제도는 바로 영토 조사였다. 즉 세금을 효율적으로 걷어가서 이것을 토대로 재산을 쌓아 대제국의 발전을 위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서양 세계에서 첫 번째로 시행된 대 영국 제국의 봉건 제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속칭 봉건 제국인 노르만 황조 시대라고 일컫는 시기이다.
27번째 줄:
=== 마그나 카르타의 제정 ===
 
십자군 전쟁이 지나가고 난 이후 대교황의 힘은 상대적으로 약해졌고, 반대로 대천황과 대국왕과대천왕과 귀족들과 백성들은 힘이 강해지기 시작했다. 이는 곧 기존의 봉건 체제의 붕괴가 오는 시점이 되기도 한다. 어쨌거나 십자군 전쟁에 참여한 대제국들은 세금 때문에 애를 상당히 먹고 있었다. 서양의 여러 제국들의 대천황들은 멋대로 백성들로부터 세금을 엄청 거두었고 군대조차 자기 멋대로 관리하기 시작했다. 상대적으로 귀족들의 세력은 약해졌으며, 이는 곧 서양의 여러 제국들이 점점 절대 황권 체제를 확립해 나간다. 그러나 귀족들이라고 참고만 있을 수는 없었는데, 특히 이러한 겨룸이 가장 심했던 제국은 잉글랜드 황국이었다.
 
당시 대천황이었던 사자심황(獅子心皇) 리처드 1세 대천황이 다스리고 있었으나, 십자군 전쟁이 터지자 대천황의 자리를 오랫동안 비울 수 밖에 없었다. 그런 대천황의 자리는 공교롭게도 리처드 1세의 남동생인 존 대천황이 이어받았다. 존은 본래 앙주 가문의 앙리가 잉글랜드 황국에 건너와서 플랜태저넷 황조를 세운 헨리 2세 대천황의 네 번째 아들이었다. 그러므로 초대 노르만 황조의 정복 대천황인 윌리엄 1세의 자손은 이미 끊겨진 상태. 아무튼 1189년에 헨리 2세가 사망하고 세 번째 아들인 리처드 1세가 잉글랜드 황국의 대천황의 자리에 올랐으나, 십자군 전쟁이 발발하여 결국 황좌를 오랫동안 비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사실상 존이 잉글랜드 황국의 대천황 노릇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실 리처드 1세와 존은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다고 전해지며, 둘의 성격도 서로 맞지 않아서 늘 다툼을 일으켰다고 한다.
59번째 줄:
=== 대제국의 위기와 대의회의 등장 ===
 
이런 대 영국 제국에도 거대한 폭풍이 몰아치기 시작했다. 절대 군주제가 점점 쇠퇴해 나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603년 대 영국 제국의 새로운 대천황인 제임스 1세가 황좌의 자리에 올랐다. 그런데 귀족들과 평민들과 노예들의 불만이 엄청 많았는데, 바로 제임스 1세는 스코틀랜드 제국의 출신이었기 때문이었다. 본래 제임스 1세는 스코틀랜드 제국에서 제임스 6세로 불리우며 스코틀랜드 제국의 대국왕으로대천왕으로 있었다가 대 영국 제국으로 왔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제임스 1세는 과거 스코틀랜드 제국의 대국왕대천왕 시절에 대 영국 제국의 대의회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이제 대 영국 제국의 대의회는 과거 엘리자베스 1세 대천후의 절대 황권 시절에도 꾸준히 그 실력을 키워 왔던 중산층들이 중심이 되어가고 있었다. 대의회의 대신들은 이제 개혁적이며 진보적인 성격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즉 이들은 재산과 지위를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 아닌, 스스로 노력을 하여 부를 쌓은 사람들인 청교도인들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런 만큼 이들은 새로운 대천황이 부임할 때부터 은근히 불만이 쌓여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런 중산층과 그들의 대표자인 대의회의 대신들의 불만을 전혀 몰랐던 제임스 1세는 여전히 절대적인 황권을 유지하기를 원했고, 끝내 이것이 대천황과 대의회 사이에 피할 수 없는 충돌의 원인이 되어버렸다.
 
아무튼 대 영국 제국의 대천황의 자리에 오른 제임스 1세는 정치를 하는 과정에서 큰 장애물을 발견했다. 그것은 바로 대 영국 제국의 재산이 모자랐다는 점이었고, 끝내 제임스 1세는 대신들과 협약을 하여 대의회를 열었다.(대 영국 제국은 1215년 존 대천황이 마그나 카르타에 서명함으로써, 세금을 거두기 위해서는 대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대 영국 제국에서 첫 번째로 대의회가 열렸던 것이며, 대신들은 대천황에게 세금을 바칠 것을 맹세했다. 그 대신 대 영국 제국의 성직자들의 태도는 매우 불량했고 재산을 모으기에 정신이 팔려 교회의 기강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말했다. 따라서 대신들은 대천황의 요구를 들어주는 대신 부패한 성직자들을 감독하고 감시할 권한을 달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제임스 1세는 사실 절대 황정을 추구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대신들의 의견에 절대적으로 반대했고, 결국 대천황과 대의회의 화합은 처음부터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99번째 줄:
하지만 대신들은 곧바로 폭동을 일으키지는 않았는데, 바로 제임스 2세는 뒤를 이을 황태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비록 황태녀가 2명이나 있었지만 독실한 성공회 신도여서 아무 문제가 없었고, 게다가 황태녀 2명마저 모두 외국으로 시집을 갔기 때문에 그다지 큰 위협이 되지는 않았다.(첫 번째 황태녀인 메리는 네덜란드 제국에 있었고, 두 번째 황태녀인 앤은 덴마크 제국에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대신들마저 믿기 어려운 놀라운 일이 벌어지기 시작하는데, 1688년 제임스 2세의 황태자가 태어난 것이었다! 결국 대신들은 본격적으로 그 동안 준비해 왔던 폭동을 일으킬 준비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곧 대 영국 제국의 대의회가 보낸 밀사가 도버 해협을 건너, 네덜란드 제국에 도착했다. 네덜란드 제국의 왕궁에는 당시 대국왕인대천왕인 윌리엄 3세와 제임스 2세의 첫 번째 황태녀인 메리 2세가 대국후로 있었다. 윌리엄 3세는 밀사의 설명을 듣고, 대 영국 제국이 이제는 대천황이 대의회에 의해서 강제로 교체될 것 같은 위기에 처한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처음에 윌리엄 3세는 대 영국 제국의 대천황의 자리에 올라달라는 부탁을 거절하였지만, 밀사는 대 영국 제국의 대천황의 자리에는 윌리엄 3세가 가장 적합하다고 강조했으며 또한 윌리엄 3세야말로 신교도이며 대국민들의 마음을 잘 파악할 수 있다고 칭찬하였다. 결국 윌리엄 3세는 고민 끝에 아내인 메리 2세와 같이 대 영국 제국으로 출발하였다.
 
1688년 11월 5일에 대 영국 제국에 도착한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대천황인 제임스 2세가 대천황의 자리에 물러나도록 하였다. 결국 자신의 딸과 사위에게 배반을 당한 제임스 2세는 화가 나서 군대를 일으켜 그들을 모두 죽여버리려고 하였으나, 대신들은 이미 대 영국 제국의 대국민들은 대천황을 버렸다면서 소용이 없다고 말했고 대 프랑스 제국으로 망명할 것을 요구하였다. 결국 제임스 2세는 크게 후회하면서 대 프랑스 제국으로 망명하였고,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각각 대 영국 제국의 대천황의 자리와 대천후의 자리에 올랐다. 다행히 이 과정에서 군대가 서로 피를 흘리지 않고 혁명을 이루어냈다고 하여 명예 혁명이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