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이차 방정식
최고차항의 차수 가 2인 방정식 을 이차방정식 (二次方程式, Quadratic equation)이라고 한다. 그 중 미지수
x
{\displaystyle x}
가 포함된 이차방정식을 '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에서 그 식이 참이 되게 하는
x
{\displaystyle x}
의 값을 '해' 또는 '근'이라고 하며,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이차방정식을 푼다'고 한다.[ 2]
이차방정식을 푸는 방법은 인수 분해 한 다음,
A
B
=
0
{\displaystyle AB=0}
이면
A
=
0
{\displaystyle A=0}
또는
B
=
0
{\displaystyle B=0}
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한다.[ 3]
10
x
2
−
2
=
21
x
+
8
{\displaystyle 10x^{2}-2=21x+8}
⇔
10
x
2
−
21
x
−
10
=
0
{\displaystyle \Leftrightarrow 10x^{2}-21x-10=0}
⇔
(
2
x
−
5
)
(
5
x
+
2
)
=
0
{\displaystyle \Leftrightarrow (2x-5)(5x+2)=0}
⇔
2
x
−
5
=
0
{\displaystyle \Leftrightarrow 2x-5=0}
또는
5
x
+
2
=
0
{\displaystyle 5x+2=0}
⇔
x
=
5
2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5 \over 2}}
또는
x
=
−
2
5
{\displaystyle x=-{2 \over 5}}
아래와 같이 제곱근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 4]
x
2
=
k
{\displaystyle x^{2}=k}
(단,
k
≥
0
{\displaystyle k\geq 0}
)
⇔
x
=
±
k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m {\sqrt {k}}}
a
x
2
=
k
{\displaystyle ax^{2}=k}
(단,
a
≠
0
,
a
k
≥
0
{\displaystyle a\neq 0,ak\geq 0}
)
⇔
x
2
=
k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2}={k \over a}}
⇔
x
=
±
k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m {\sqrt {k \over a}}}
(
x
−
p
)
2
=
q
{\displaystyle (x-p)^{2}=q}
(단,
q
≥
0
{\displaystyle q\geq 0}
)
⇔
x
−
p
=
±
q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pm {\sqrt {q}}}
⇔
x
=
p
±
q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pm {\sqrt {q}}}
a
(
x
−
p
)
2
=
q
{\displaystyle a(x-p)^{2}=q}
(단,
a
≠
0
,
a
q
≥
0
{\displaystyle a\neq 0,aq\geq 0}
)
⇔
(
x
−
p
)
2
=
q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2}={q \over a}}
⇔
x
−
p
=
±
q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pm {\sqrt {q \over a}}}
⇔
x
=
p
±
q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p\pm {\sqrt {q \over a}}}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값이 서로 같을 때의 근을 중근 이라고 한다.[ 5]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이 '(완전제곱식)=0'의 꼴로 인수분해되어야 한다.[ 5] 즉, 이차방정식에서 이차항의 계수가 1일 때, 일차항의 계수에서 2를 나눈값의 제곱이 상수항의 값과 같으면 완전제곱식이 된다.[ 6]
x
2
−
8
x
+
10
=
0
{\displaystyle x^{2}-8x+10=0}
⇔
x
2
−
8
x
+
16
=
6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2}-8x+16=6}
⇔
(
x
−
4
)
2
=
6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4)^{2}=6}
⇔
x
−
4
=
±
6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4=\pm {\sqrt {6}}}
⇔
x
=
4
±
6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4\pm {\sqrt {6}}}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의 근은 아래와 같다.[ 7] [ 8]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x
2
+
b
a
x
+
c
a
=
0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2}+{b \over a}x+{c \over a}=0}
⇔
x
2
+
b
a
x
=
−
c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2}+{b \over a}x=-{c \over a}}
⇔
x
2
+
b
a
x
+
(
b
2
a
)
2
=
−
c
a
+
(
b
2
a
)
2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2}+{b \over a}x+\left({b \over 2a}\right)^{2}=-{c \over a}+\left({b \over 2a}\right)^{2}}
⇔
(
x
+
b
2
a
)
2
=
b
2
−
4
a
c
4
a
2
{\displaystyle \Leftrightarrow \left(x+{b \over 2a}\right)^{2}={{b^{2}-4ac} \over {4a^{2}}}}
⇔
x
+
b
2
a
=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b \over 2a}=\pm {{\sqrt {b^{2}-4ac}} \over 2a}}
⇔
x
=
−
b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x={{-b\pm {\sqrt {b^{2}-4ac}}} \over 2a}}
따라서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의 근은
−
b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b\pm {\sqrt {b^{2}-4ac}}} \over 2a}}
이다.
x
=
−
b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x={{-b\pm {\sqrt {b^{2}-4ac}}} \over 2a}}
을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에서
b
=
2
b
′
{\displaystyle b=2b'}
일 때,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b
=
2
b
′
{\displaystyle b=2b'}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8]
x
=
−
2
b
′
±
(
2
b
′
)
2
−
4
a
c
2
a
{\displaystyle x={{-2b'\pm {\sqrt {(2b')^{2}-4ac}}} \over {2a}}}
=
−
2
b
′
±
4
b
′
2
−
4
a
c
2
a
{\displaystyle ={{-2b'\pm {\sqrt {4b'^{2}-4ac}}} \over {2a}}}
=
−
2
b
′
±
4
(
b
′
2
−
a
c
)
2
a
{\displaystyle ={{-2b'\pm {\sqrt {4(b'^{2}-ac)}}} \over {2a}}}
=
−
2
b
′
±
2
b
′
2
−
a
c
2
a
{\displaystyle ={{-2b'\pm 2{\sqrt {b'^{2}-ac}}} \over {2a}}}
=
−
b
′
±
b
′
2
−
a
c
a
{\displaystyle ={{-b'\pm {\sqrt {b'^{2}-ac}}} \over {a}}}
따라서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에서
b
=
2
b
′
{\displaystyle b=2b'}
일 때,
x
=
−
b
′
±
b
′
2
−
a
c
a
{\displaystyle x={{-b'\pm {\sqrt {b'^{2}-ac}}} \over {a}}}
이다.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에서
b
{\displaystyle b}
가 짝수일 때 이 공식을 이용하면 계산이 편리하다.
x
{\displaystyle x}
에 관한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의 근의 공식
x
=
−
b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x={{-b\pm {\sqrt {b^{2}-4ac}}} \over 2a}}
에서
b
2
−
4
a
c
{\displaystyle b^{2}-4ac}
의 부호에 의해 근의 개수가 결정된다. 이때,
b
2
−
4
a
c
{\displaystyle b^{2}-4ac}
를 판별식 이라고 하며, 판별식을 바탕으로 이차방정식의 근의 개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9] [ 10]
이차방정식
a
x
2
+
b
x
+
c
=
0
{\displaystyle ax^{2}+bx+c=0}
(
a
≠
0
{\displaystyle a\neq 0}
)에서
b
2
−
4
a
c
>
0
{\displaystyle b^{2}-4ac>0}
이면,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
x
=
−
b
±
b
2
−
4
a
c
2
a
{\displaystyle x={{-b\pm {\sqrt {b^{2}-4ac}}} \over 2a}}
)
b
2
−
4
a
c
=
0
{\displaystyle b^{2}-4ac=0}
이면, 한 근(중근)을 갖는다. (
x
=
−
b
2
a
{\displaystyle x=-{b \over 2a}}
)[ 11]
b
2
−
4
a
c
<
0
{\displaystyle b^{2}-4ac<0}
이면, 근이 없다.[ 11]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이차 함수
최고차항의 차수 가 2인 함수 를 이차함수 (二次函數, Quadratic function)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차함수는
f
(
x
)
=
a
x
2
+
b
x
+
c
{\displaystyle f(x)=ax^{2}+bx+c}
(
a
≠
0
,
a
,
b
,
c
{\displaystyle a\neq 0,a,b,c}
는 상수) 혹은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
a
≠
0
,
a
,
b
,
c
{\displaystyle a\neq 0,a,b,c}
는 상수)와 같은 형태로 나타낸다.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포물선
이차함수
y
=
x
2
{\displaystyle y=x^{2}}
의 그래프의 모양과 같이, 평면에서 어떤 점
F
{\displaystyle F}
와
F
{\displaystyle F}
를 지나지 않는 직선
l
{\displaystyle l\,}
이 주어졌을때,
F
{\displaystyle F}
에 이르는 거리와
l
{\displaystyle l\,}
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자취를 포물선 (抛物線, Parabola)이라고 한다.[ 12] 선대칭도형인 포물선의 대칭을 이루게 하는 직선을 축 (軸, Axle)이라고 하며 포물선과 축의 교점을 꼭짓점 (Vertex)이라고 한다.[ 13] [ 12]
이차함수
y
=
a
x
2
{\displaystyle y=ax^{2}}
의 그래프
+/-
이차함수
f
(
x
)
=
a
x
2
|
a
=
{
0.1
,
0.3
,
1
,
3
}
{\displaystyle f(x)=ax^{2}|_{a=\{0.1,0.3,1,3\}}\!}
의 그래프
이차함수
y
=
a
x
2
{\displaystyle y=ax^{2}}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은 성질이 있다.[ 14] [ 15]
꼭짓점의 좌표가
(
0
,
0
)
{\displaystyle (0,0)}
이다.
y
{\displaystyle y}
축을 축으로 하여 대칭한다.
축의 방정식이
x
=
0
{\displaystyle x=0}
이다.
a
>
0
{\displaystyle a>0}
이면 아래로 볼록하고
a
<
0
{\displaystyle a<0}
이면 위로 볼록하다.
|
a
|
{\displaystyle |a|}
가 클수록 그래프의 폭은 좁아지며
|
a
|
{\displaystyle |a|}
가 작을수록 그래프의 폭은 넓어진다.
y
=
−
a
x
2
{\displaystyle y=-ax^{2}}
의 그래프와
x
{\displaystyle x}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 관계이다.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
+/-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
a
≠
0
)
{\displaystyle y=a(x-p)^{2}+q(a\neq 0)}
의 그래프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16] [ 15]
꼭짓점의 좌표는
(
p
,
q
)
{\displaystyle (p,q)}
이다.
직선
x
=
p
{\displaystyle x=p}
에 대하여 대칭이다.
축의 방정식이
x
=
p
{\displaystyle x=p}
이다.
a
>
0
{\displaystyle a>0}
이면 아래로 볼록하고
a
<
0
{\displaystyle a<0}
이면 위로 볼록하다.
|
a
|
{\displaystyle |a|}
가 클수록 그래프의 폭은 좁아지고
|
a
|
{\displaystyle |a|}
가 작을수록 그래프의 폭은 넓어진다.
이차함수
y
=
a
x
2
{\displaystyle y=ax^{2}}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의 방향으로
p
{\displaystyle p}
만큼,
y
{\displaystyle y}
축의 방향으로
q
{\displaystyle q}
만큼 평행이동한 이차함수와 같다.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와
x
{\displaystyle x}
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이차함수에
x
=
0
{\displaystyle x=0}
을 대입하였을 때의
y
{\displaystyle y}
값이
y
{\displaystyle y}
좌표이다(
x
{\displaystyle x}
좌표는
0
{\displaystyle 0}
이다.). 마찬가지로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와
y
{\displaystyle y}
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이차함수에
y
=
0
{\displaystyle y=0}
을 대입하였을 때의
x
{\displaystyle x}
값이
x
{\displaystyle x}
좌표이다(
y
{\displaystyle y}
좌표는
0
{\displaystyle 0}
이다.).[ 17]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의 방향으로
m
{\displaystyle m}
만큼,
y
{\displaystyle y}
축의 방향으로
n
{\displaystyle n}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는
y
=
a
(
x
−
p
−
m
)
2
+
q
+
n
{\displaystyle y=a(x-p-m)^{2}+q+n}
이다.[ 17]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에 대하여 대칭시킨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
{\displaystyle y}
의 부호가 바뀌므로 아래와 같다.[ 17]
−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
y
=
−
{
a
(
x
−
p
)
2
+
q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left\{a(x-p)^{2}+q\right\}}
⇔
y
=
−
a
(
x
−
p
)
2
−
q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a(x-p)^{2}-q}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에 대칭시킨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
=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이다.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를
y
{\displaystyle y}
축에 대하여 대칭시킨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이다.[ 17]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
+/-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을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꼴로 고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8]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
y
=
a
(
x
2
+
b
a
x
)
+
c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a\left(x^{2}+{b \over a}x\right)+c}
⇔
y
=
a
{
x
2
+
b
a
x
+
(
b
2
a
)
2
}
+
c
−
(
b
2
4
a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a\left\{x^{2}+{b \over a}x+\left({b \over 2a}\right)^{2}\right\}+c-\left({b^{2} \over 4a}\right)}
⇔
y
=
a
(
x
+
b
2
a
)
2
−
b
2
−
4
a
c
4
a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a\left(x+{b \over 2a}\right)^{2}-{b^{2}-4ac \over 4a}}
따라서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을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그래프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
−
b
2
a
,
−
b
2
−
4
a
c
4
a
)
{\displaystyle \left(-{b \over 2a},-{b^{2}-4ac \over 4a}\right)}
이고 축의 방정식은
x
=
−
b
2
a
{\displaystyle x=-{b \over 2a}}
이다.
y
{\displaystyle y}
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
0
,
c
)
{\displaystyle (0,c)}
이다.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의 방향으로
m
{\displaystyle m}
만큼,
y
{\displaystyle y}
축의 방향으로
n
{\displaystyle n}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는 기존의 이차함수를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의 꼴로 변형한 다음
y
=
a
(
x
−
p
−
m
)
2
+
q
+
n
{\displaystyle y=a(x-p-m)^{2}+q+n}
을 전개하여 계산할 수 있다.[ 18]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를
x
{\displaystyle x}
축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
{\displaystyle y}
의 부호가 바뀌므로 아래와 같다.[ 18]
−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
y
=
−
{
a
x
2
+
b
x
+
c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left\{ax^{2}+bx+c\right\}}
⇔
y
=
−
a
x
2
−
b
x
−
c
{\displaystyle \Leftrightarrow y=-ax^{2}-bx-c}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를
y
{\displaystyle y}
축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x
{\displaystyle x}
의 부호가 바뀌므로 아래와 같다.[ 18]
y
=
a
(
−
x
)
2
+
b
(
−
x
)
+
c
{\displaystyle y=a(-x)^{2}+b(-x)+c}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와
y
{\displaystyle y}
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
0
,
c
)
{\displaystyle (0,c)}
이다.[ 19]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의 그래프에서
a
,
b
,
c
{\displaystyle a,b,c}
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19]
a
>
0
{\displaystyle a>0}
이면 그래프의 모양이 아래로 볼록하고,
a
<
0
{\displaystyle a<0}
이면 그래프의 모양이 위로 볼록하다.
a
b
>
0
{\displaystyle ab>0}
이면 꼭짓점이
y
{\displaystyle y}
축의 왼쪽이 있고,
a
b
<
0
{\displaystyle ab<0}
이면
y
{\displaystyle y}
축의 오른쪽에 있다.
b
=
0
{\displaystyle b=0}
이면 꼭짓점이
y
{\displaystyle y}
축 위에 있다.
c
>
0
{\displaystyle c>0}
이면
y
{\displaystyle y}
축과의 교점이
x
{\displaystyle x}
축의 위쪽에 있고,
c
<
0
{\displaystyle c<0}
이면
y
{\displaystyle y}
축과의 교점이
x
{\displaystyle x}
축의 아래에 있다.
어떤 함수에서 정의역의 각 원소에 대응하는 함숫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최댓값 (最大값, Maximum)이라고 하고, 정의역의 각 원소에 대응하는 함숫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최솟값 (最小값, Minimum)이라고 한다.[ 20] [ 21]
이차함수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에서
a
>
0
{\displaystyle a>0}
일 때 꼭지점의 함숫값이 최솟값이 되므로 최솟값은
q
{\displaystyle q}
이고, 최댓값은 무한히 큰 수이므로 없다.[ 22] [ 20] 반면 같은 함수에서
a
<
0
{\displaystyle a<0}
일 때에는 꼭짓점의 함숫값이 최댓값이 되므로 최댓값은
q
{\displaystyle q}
이며, 최솟값은 무한히 작은 수이므로 없다.[ 23] [ 20]
이차함수
y
=
a
x
2
+
b
x
+
c
{\displaystyle y=ax^{2}+bx+c}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계산하는 것은 이차함수를
y
=
a
(
x
−
p
)
2
+
q
{\displaystyle y=a(x-p)^{2}+q}
꼴로 변환한 뒤 계산한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