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항식의 계산 |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 단원에서는 일차방정식과 일차부등식, 일차함수, 연립일차방정식과 연립일차부등식의 뜻과 성질을 다룬다.[1]
일차방정식
+/-일차방정식의 뜻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일차 방정식 |
최고차항의 차수가 1인 방정식을 일차방정식(一次方程式, Linear equation)이라고 한다. 그 중 미지수 가 포함된 일차방정식을 ' 에 관한 일차방정식'이라고 한다.[2]
등식의 성질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등식 |
등식(等式, Equality)은 두 개 이상의 수식을 등호로 묶어 표현하는 관계식이다. 등식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3]
-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단, )
일차방정식의 풀이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을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을 이항이라고 한다.[2] 일차방정식은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꼴로 변형하여 푼다.
일차방정식을 풀어 미지수를 계산한 값을 일차방정식의 해 또는 일차방정식의 근이라고 한다.
일차함수
+/-일차함수의 뜻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일차 함수 |
최고차항의 차수가 1인 함수를 일차함수(一次函數, Linear function)라고 한다. 일차함수는 ( 는 상수, )의 꼴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를 기울기(Slope)라고 한다.
일차함수의 성질
+/-일차함수 ( 는 상수,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4]
- 을 지나는 직선이다.
- 기울기는 이다.
- 절편은 이다.
- 직선의 축이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이 일 때, 기울기는 이다.
일차함수의 그래프
+/-순서쌍과 좌표평면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직교 좌표계 |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순서쌍 |
좌표를 나타내는 평면을 좌표평면(座標平面) 또는 직교 좌표계(直交座標系,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라고 부른다. 어떤 원소를 순서에 따라 쌍을 지어 나타내는 것을 순서쌍(順序雙, Ordered pair)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일차함수 위의 어떤 점을 좌표평면에 나타낼 때 순서쌍 과 같은 형태로 나타낸다.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절편
+/-일차함수를 그래프에 나타내었을 때,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 절편'이라고 하고,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 절편'이라고 한다.[5]
- 에서
- 절편은 일 때 의 값이므로, 가 절편이다.
- 절편은 일 때 의 값이므로, 가 절편이다.
일차함수 그래프의 표현
+/-다음과 같이 일차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일차함수를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6]
함수 ( 는 상수, )는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 그래프이다. 함수 ( 는 상수, )는 함수 그래프를 축 방향으로 만큼 이동한 그래프이며, 함수 ( 는 상수, )는 함수 그래프를 축 방향으로 만큼 이동한 그래프이다. 함수 ( 는 상수, )는 함수 그래프를 축 방향으로 만큼, 축 방향으로 만큼 이동한 그래프이다.
일차부등식
+/-일차부등식의 뜻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일차 부등식 |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부등식을 일차부등식(一次不等式, Linear inequality)이라고 한다.
부등식의 성질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부등식 |
부등식(不等式, Inequality)은 두 수나 식의 크기를 나타낸 관계식이다. 부등호를 사용하여 두 크기의 비교를 표시한다. 부등식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7]
-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일차부등식의 풀이
+/-일차부등식은 부등식의 성질과 이항을 이용하여 푼다.[8]
연립일차방정식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위키백과에 이 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있습니다. 연립 일차 방정식 |
연립일차방정식(聯立一次方程式, System of linear equations)은 일차방정식 여러 개를 한 쌍으로 묶은 방정식을 말한다. 연립일차방정식은 소거하는 방법과 방정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푼다.[9] 한 근을 구하면 다른 식에 대입하여 풀 수 있다.
- 위 두 식을 더하여 를 소거하여 계산하면 을 계산해낼 수 있다. 을 위 두 식 중 하나에 대입하여 풀면 임을 구할 수 있다.
연립일차부등식
+/-연립일차부등식의 풀이
+/-연립일차부등식(聯立一次方程式, System of linear inequalities)은 일차부등식 여러 개를 한 쌍으로 묶은 부등식을 말한다. 연립일차부등식은 부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각 부등식의 범위를 구한 후, 각 부등식의 범위에 포함되는 해의 집합의 교집합을 구한다.[10]
- 의 해의 집합과 의 해의 집합의 교집합은 이므로 위 연립일차부등식을 풀면 이다.
각주
+/-- ↑ (201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43쪽
- ↑ 2.0 2.1 장지경. (2007). “일차방정식의 풀이”.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등식의 성질”.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김종호. (2007). “일차함수”. 《Basic 고교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x절편과 y절편”.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부등식의 성질”.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일차부등식과 그 풀이”.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김종호. (2007).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법”. 《Basic 고교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 ↑ 장지경. (2007). “연립부등식”. 《Basic 중학생을 위한 수학공식 활용사전》. 신원문화사.
참고 문헌
+/-- (201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